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기록하기/02. 기본개념

인플레이션은 경기를 어떻게 추락시키나(인플레이션 개념, 비용인플레이션, 수요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개념)

by 행복한이천만장자 2021. 9. 23.
반응형

인플레이션은 경기를 어떻게 추락시키나

1. 인플레이션

 1) 개념: 경기가 좋아지면 재화 수요가 공급을 웃돌면서 물가가 오른다. 수요가 공급을 많이 웃돌면 물가 상승세가 여느 때와 달리 아주 빨리질 수 있다. 이처럼 물가 상승이 단기에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줄여서 '인플레'라고 부름

 

2. 첫째, 소비를 위축시켜서 경기를 끌어내림

 1) 추가설명 : 현금이 적음 서민들은 씀씀이가 적어짐. 현금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인플레이션 초기에 물가가 오르기전에 소비를 늘린다. 돈가치가 떨어지면 장차 갚아야 할 빚 부담도 덜어지므로 빚까지 내 쓰기도 한다. 덕분에 인플레이션 초기에는 소비와 판매가 늘어난다. 기업들은 이익을 늘릴 욕심에 설비 투자와 고용을 늘리고, 경기가 확대된다.  후반부에는 소비가 줄어들면서 상품판매가 줄어들고 생산과 고용이 줄일 수 밖에 없다. 결국 소비, 판매, 생산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줄어드니 악순환이 생겨서 경기가 위축된다.

 

3. 둘째, 인플레이션은 금리를 올려 경기를 추락시킨다.

 1) 추가설명 :  자금시장에서는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현상이 지속되면 금리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기업들 사이에서 투자를 위해 자금을 빌리려는 의욕이 위축된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 빚을 내 쓸 생각을 덜 하므로 소비가 줄어 판매가 위축되는 것도 기업 투자에 부담이 된다. 따라서 고용이 생산과 고용이 줄어들면, 가계 소비 여력이 떨어지면서 경기가 후퇴한다.

 

3. 셋째, 인플레이션은 경기주체에게 불확실한 미래 전망을 갖게 하므로 경기를 위축시킨다.

 1) 추가설명 :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오를지 예상하기 힘들어서 신제품 판매가를 정하고 예상 이익을 계산하는데 차질이 생긴다. 미래가 불확실하니 사업을 미루고 투자를 꺼리거나 줄이는 쪽으로 움직이기 쉽다. 자연히 생산 고용이 위축되고 가계 소비여력이 떨어지면서 경기가 하강한다.

 

4. 넷째, 인플레이션은 상품 수출을 줄이고 수입을 늘려 국민경제를 주름지게 한다.

 1) 추가설명 : 물가가 오르면 해외로 수출되는 국산품은 가격이 비싸지고 수입 외제품은 반대로 싸지는 효과가 생긴다. 국산품 수출은 줄고 외제품 수입은 늘어나기 쉽다. 상품 수축액보다 수입액이 많아져 무역적자가 나고, 국민경제 수준에서 외화벌이가 부진해질 수 있다. 

 인플레이션 탓에 무역적자가 날 정도로 외화벌이가 부진해지면 정부가 대외거래에 필요한 외화를 외국에서 빌려야 할 경우도 생긴다. 외채( 外 바깥 외 債 빌리 채, foreign debt)를 얻어야 한다. 인플레이션이 수출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무역적자를 부르고 나라 빚을 늘려 국민경제를 어렵게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인플레이션은 왜 서민에게 적, 부자에게 기회인가

1. 서민에게는 봉급이 오르지 않은데 물가가오르기 때문에 생활수준 퇴보를 강요한다.

 

2. 부자는 재산을 불릴 호기가 될수 있음. 인플레이션 진행되면 현금 가치를 보존하려는 수요가 흔히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 투자로 몰린다.

 

3. 서민들은 알아도 부동산 투자에는 목돈이 필요한데 서민들은 물가가 뛸 때 잽싸게 투자에 동원할 여윳돈이 없다.

 


 

인플레이션 때는 왜 부동산과 주식을 조심해야 하나

1. 소비가 위축되면 판매가 줄고 기업이 생산규모와 고용을 줄여 경기 하강하기 쉽다. 그러면 자산도 시세가 도로 떨어질 수 있다.

 

2. 경기 하강과 자산 가치 하락은 갑작스럽게 진행될 때가 많다. 인플레이션 진행될 때는 수요가 서서히 커지지만 경기 하강 때는 수요가 급하게 위축되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1) 추가설명 : 가수요 때문이다. 가수요란 본래 어떤 상품이 필요해서 매매하는 수요, 곧 실수요(actual demand)가 아니다. 당장 필요치는 않지만 장치 시세가 올랐을 때 팔아서 차익을 보겟다는 기대로 상품을 매매하는 투기수요(speculative demand)다. 자산시장에서 가수요가 빠지면 수요 위축이 급하게 진행되므로 시세가 단기 급락할 때가 많다. 

 


인플레이션, 왜 생길까

 

1. 인플레이션 발생원에 따라 두가지 유형으로 나뉨

 1) 첫째, 원자재나 임금같은 생산원가가 오르는 탓에 나타나는 비용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2) 둘째, 경기 과열되어 수요가 공급을 크게 웃돌 때 나타나는 수요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2. 인플레이션이 어디서 발생하는냐에 따라서도 두가지로 나뉨

 1) 첫째, 수입 상품 값이 올라 생기는 수입 인플레이션(엄밀히 말하면 비용인플레이션임)

 2) 둘째, 국내 경제 흐름에서 생기는 국내 인플레이션(엄밀히 말하면 수요인플레이션임)

 

3. 비용 인플레이션과 수입 인플레이션을 이끄는 전형적인 원인은 유가인상임

 1) 추가 설명 : 유가가 상승하면 원유로 만들어지는 각종상품 가격이 상승하여, 생산원가가 오름

 

4. 수요 인플레이션과 국내 인플레이션을 부르는 원인은 여러가지임

 1) 경기과열

 2) 시장 독과점 상태


수요 인플레이션 어떻게 막나

수요인플레이션은 수과 초과(초과수요)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대게 경기가 과열되어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 때 생긴다.

 

1. 첫번째, 통화정책

총수요를 가라앉힘으로써 막을수 있다. 총수요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국민경제에 유통되는 통화량이다. 시중 통화량이 많으면 총수요를 크게 높이기 때문에, 총수요를 줄이려 할때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쓴다. 

  하지만 통화량과 총수요를 위칙시킨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쉽지 안핟. 정채 작동 과정이 복잡하고 단기 효과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가가 떨어지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통화량이 줄면 소비지출은 이내 줄지만 상품가격은 한동안 그대로인 채 판매만 줄면서, 기업이 고용을 줄이는 결과를 빚기도 한다. 

 

2. 두번째, 조세정책

 조세정책으로 총수요를 줄이려할때는 세금을 더 걷는다. 정보가 소득세나 법인세 징수율을 높이고 가계와 기업이 세 부담 때문에 소비를 줄인다면 총수요가 줄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된다.

 

3. 세번째, 재정정책

 총수요를 줄일 목적으로 하는 재정정책의 전형은 공공투자 사업 규모를 줄이는 것이다. 정부가 공공 이익을 목적으로 공급하는 시설, 곧 사회간접자본을 줄이는 것도 여기 해당된다.  정부지출 규모가 줄면 총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 안정에 도음이 된다.

 

4. 금융정책 또는 통화정책 :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

 

5. 조세정책이나 재정저책은 총수요를 줄여 수요 인플레이션을 억제할수 있지만 효과를 보기까지는 대게 시간이 많이걸린다.


비용 인플레인션 어떻게 막나

비용인플레이션은 생산원가가 올라 물가가 단기 급등하는 현상이다. 흔한 예로 임금이나 수입 에너지 값이 올라서 생기는 인플레이션이다.

 

1. 첫째, 기업이 선진 기술이나 기계를 쉽게 개발하거나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도와주면 좋다

 1) 추가설명 : 생산비 절감 목적

 

2. 둘째, 기업이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정부가 물류 개선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1) 추가설명 : 유통되는 과정을 가리키고, 정부가 도로망을 확충하거나 항구 또는 공항을 건설하고 유통센터 같은 물류시설 건설을 지원한다.

 

3. 셋째, 국민 생필품인 쌀값이 급등해서 물가가 뛰는 일이 없게 평소 정부가 잘 대응하는 것도 중요함

 1) 추가설명 : 정부가 미리 사두었다가 공급이 부족할 때 내놓으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됨

 

4. 넷째, 비용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정부 단속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1) 추가설명: 독과점업체의 가격 담합(談 말씀 담 合 합할 합, collusion)하는 것을 단속해야 함

 

5. 다섯째, 물가가 뛸 때 정부가 직접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평소 정부가 기업 환경 안정을 염두에 두고 경제 정책을 구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추가설명 : 평소에 생산소요비용을 안정적으로 해줘야 한다.

 


디플레이션은 뭐가 문제인가

1. 디플레이션(deflation)

 1) 개념 : 수요가 공급보다 많이 부족해 시장에서 판매가 위축되면서 물가가 계속 떨어지는 경제 상태다.

 

2. 디플레이션 때 나타는 물가하락은 경제발전과 생산성 향상 덕택이 아니라 수요와 소비가 공급에 못 미쳐 물가가 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저물가는 기업이나 소비자가 돈벌이가 시원찮거나 빚 부담에 짓눌린 탓이다. 때문에 수요 부진으로 저물가가 지속되면 판매가 줄고 생산, 고용, 투자 규모가 줄어 경기가 나빠지고 국미경제가 성장하는 능력이 약해진다.

 

3. 만약 어떤 이유롣른 가계 소비를 늘린다면 경기가 되살아날 길이 열린다. 소비가 늘어나면 제품 값과 물가가 오르더라도 생산,투자,고용을 자극해서 경기가 좋은 사이클을 탈 수 있게 때문이다. 그래서 경기가 나쁠 때는 정부가 주식이나 부동산 시장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펴곤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