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경제지표, 지수, % 와 %p 차이, GDP,GNI)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 1. 경제지표(economic indicators) 1) 개념 : 경제 현상을 측정해서 경제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기 쉽게 나타낸 도구 2) 추가설명 : 퍼센트(%)로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처럼 간단한 숫자 형태를 주로 쓰는데, 그냥 숫자가 아니라 지수일 때가 많다. 2. 지수(指 손가락 지 數 셀 수, index, index numbers) 1) 개념 : 현실에서 나타낸 변화를 알아보려고 만들어 쓰는 통계 값 2) 만드는 법 - 기준이 되는 값이나 기준 시점 값을 정한다. - 기준 값 또는 기준 시점 값에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값,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시점의 값을 대비시켜 지수를 구한다. 지수= 비교하려는(비교시점의 값) 값/기준이 되는(기준 시점의)값 x1..
2021. 10. 5.
'경기 좋을 때'란 어떤 때?(경기, 공황, 대공황, 금리, 경기지표, 경제지표, 경기정책 등)
'경기 좋을 때'란 어떤 때? ▶투자, 생산, 고용,소비가 활발히 움직이고 규모가 커질때 1. 경기 1) 개념 : 경제 상태(business conditions)를 말한다. 2) 추가 설명 : 경기가 좋다면 경제 상태가 좋다는 좋다는 뜻이다. 경기가 좋을 때는 투자,생산,고용,소비가 활발히 움직이고 규모가 커진다. 2. 중간재(intermediates goods) 1) 개념 : 상품 생산 중간 단계에 쓰이는 재화다. 2) 추가 설명 : 완제품 생산기업이 중간재나 원재료 구입을 늘려면 다른 기업들도 덩달아 일감이 늘어난다. 주로 완제품 생산기업에 원재료를 가공해 팔거나 중간재를 생산해 공급하는 기업이 그렇다. 잘나가던 경기, 어쩌다 꺽이나 ▶경기는 할때 잘나가가도 반드시 내리막을 걷는다. 1. 경기가 정점..
2021.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