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DP2

[생산량,소득, 그리고 행복]"몇이길 원하십니까?"(생산량) 생산량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 경제 체제의 생산량을 포함하여 경제학에 나오는 어떤 숫자도 물리학이나 화학같은 자연 과학의 측정결과처럼 생각하고 대해서는 안된다. 1. 개념 : 간단히 말하면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안에서 생산되 모든 것을 금전적 가치를 합한 것 2. 추가설명 : 1) 간단히라고 말한 이유는 '생산물(GDP의 P, product)'이라는 말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 총생산을 계산할 때 우리는 생산량의 부가 가치value added를 더한다. 부가가치란 각 생산자의 최종 생산량에서 중간에 쓰인 투입량을 뺀 가치를 말한다. 2) '총(GDP의 G, gross)'는 전체 그림에서 빼는 것이 가능한데 아직 빼지 않은 것이 있다는 의미이.. 2021. 11. 21.
[경제지표]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경제지표, 지수, % 와 %p 차이, GDP,GNI)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 1. 경제지표(economic indicators) 1) 개념 : 경제 현상을 측정해서 경제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기 쉽게 나타낸 도구 2) 추가설명 : 퍼센트(%)로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처럼 간단한 숫자 형태를 주로 쓰는데, 그냥 숫자가 아니라 지수일 때가 많다. 2. 지수(指 손가락 지 數 셀 수, index, index numbers) 1) 개념 : 현실에서 나타낸 변화를 알아보려고 만들어 쓰는 통계 값 2) 만드는 법 - 기준이 되는 값이나 기준 시점 값을 정한다. - 기준 값 또는 기준 시점 값에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값,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시점의 값을 대비시켜 지수를 구한다. 지수= 비교하려는(비교시점의 값) 값/기준이 되는(기준 시점의)값 x1.. 2021.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