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기록하기/02. 기본개념

[경제지표] 국내총소득(GDI)은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소득(GNI)과 뭐가 다른가(GDP 디플레이터, 잠재성장률, GDP Gap, 경기종합지수, BSI, 부가가치)

by 행복한이천만장자 2021. 10. 5.
반응형

국내총소득(GDI)은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소득(GNI)과 뭐가 다른가

1. GDI(Gross Domestic Income)

 1) 개념 : GDP에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무역 손익을 더해서 집계한다. 교역조건을 고려할 때  GDP가 지닌 구매력이 어느 정도 소득으로 환산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소득 지표다.

 2) 추가설명 : 교역조건이 변할 때 GDP가 지닌 구매력이 달라지는 이치는 이렇다. 수출해서 GDP 1000달러를 벌었다고 치자. 원유 수입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일 때는 GDP 1000달러 원유 10배럴을 살수 있다. 만약 자동차가 수출가는 그대로인데 원유 수입가만 배럴당 200달러로 뛰면 어떻게 될까? GDP 1000달러로 살 수 있는 원유 양이 5배럴로 줄어든다. 수입 단가가 뛰면서 교역조건이 불리하게 변하면 GDP 지닌 구매력이 낮아진다.

 

2. 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

3. 실질 GNI = 실질 GDI + 대외 순수취 요소 소득

 


국민소득 커지는데 가계 살림은 왜 어려워지나

1. GNI 국민소득 집계할 때 가계소득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 소득까지 합산했고, 기업과 정부는 소득이 많이 늘었으나 가계소득은 늘지 못했지 때문임

 

2. GNI의 성장률은 비중은 기업과 정부로 치우쳐서 성장했다. PGDI 통계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PGDI 통게로 볼 때 그동안 우리 경제에서 성장 과실이 기업과 정부에 치우쳤다. 앞으로 지금보다 가계에 성장 과실이 더 많이 돌아가서, 가계소득이 국민소득 성장세를 따라 늘어날 수 있게 만드는 경책이 필요하다.

 

3. PGDI(personalGross Disposable Income)

 1) 개념 : 가계가 지출할 수 있는 실질소득

 

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GDP 디플레이터 낮아지면 왜 디플레이션 걱정하나

1. 디플레이션

 1) 개념 : 수요가 공부보다 너무 작아 판매, 생산, 고용, 투자가 위축되면서 물가가 속락하는 경제상태다. 

 

2. GDP 디플레이터

 1) 개념 : 명목 GDP를 실질 GDP에 대비시켜 산출하는 지수다.

(GDP 디플레이터 = 명목GDP/실질GDP x 100)

 2) 추가설명 : 어느해 명목 GDP가 100, 실질 GDP기 90이라면 GDP 디플레이터는 111.11이다. GDP 디플레이터가 111.11이라는 것은 명목 GDP가 실질 GDP에 비해 11.11% 부풀려졌다(inflated)는 뜻이다. 실질 GDP는 90인데 물가가 11.11%오르는 바람에 명목 GDP가 100이 된 것이다. 여기서 명목 GDP 값과 실질 GDP 값을 차이나게 만드는 것은 11.11%에 해당하는 물가 변동분이다.

 

2. GDP 디플레이터 구간별 변화율

 1) 개념 : 증감률은 물가가 오르면 플러스(+), 내리면 마이너스(-)가 된다. 뒤집어 말해 GDP 디플레이터 값이 플러스면 물가가 올랐고, 마이너스면 물가가 내렸다는 애기다.

 


GDP 알면 물가 보인다?

1.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 = 명목 GDP 상승률 - 실질 GDP 상승률

 

2. 금년 인플레이션율 = (금년 GDP 디플레이터 -작년 GDP 디플레이터)/작년 GDP 디플레이터 x 100

 


소비자물가지수와 GDP 디플레이터, 뭐가 다를까

1.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1) 개념 : 소비재 가격 동향만 조사해 만든다. 그만큼 지수 작성 범위가 좁다.

 

2. GDP 디플레이터는  GDP 값을 토대로 만든다. GDP 값은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최종생산물)의 평균 가격을 조사해 산출하므로 지수작성 범위가 매우 넓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수출물가, 환율, 임금등 모두 반영하므로 물가지수 가운데 가장 산출 범위가 넓다. 따라서 국민경제 전체를 대상으로 물가 변동 추이를 넓게 파악하는 데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낫다.

 다만 GDP 자체가 게산에 넣는 자료가 매우 많다보니 소비자 물가지수만큼 자주 산출할수 없다는 불편한점도 있음


우리 경제 잠재성장률, 왜 떨어지나

1. 잠재성장률(potential growth rate)

 1) 개념 : 물가상승률이 적적한 범위에서 경제가 동원할 수 있는 생산요소, 즉 인력, 자본(설비 포함), 기술 등을 모두 투입해서 이뤄낼 수 있는 성장률 최대치를 말함

 2) 추가설명 : 잠재성잘률 개념을 활용하면 어떤 경제가 자기 능력을 얼마나 충분히 발휘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2. 경제가 성장하려면 소비 수요와 생산능력(공급 능력)이 커져야한다. 단, 무조건 커지면 되는 것이 아니라 수요가 생산능력과 균현을 맞춰가며 커져야 한다. 수요가 단기가에 너무커져서 공급이 감당하지 못하면 인플레이션이라는 부작용이 생긴다. 

 소요가 단기가에 생산능력을 넘어서는 불균현은 왜 생길까?

  생산 설비나 노동력 등 생산능력을 좌우하는 요소는 단기간에 크게 늘리거나 줄이기 어렵지만, 소비 수요는 크게 변할 수 있기 때문임

 

3. GDP gap

 1) 개념 : 실질 경제성장률에서 잠재 성잘류을 뺀 수치

 2) 추가설명 : GDP 갭이 플러스면 경제가 자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증거임. 실질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경제활동이 생산능력 범위를 넘어서 일어난다는 뜻이기 때문임

 보통 실업률이 낮고 공장 가동률이 높아 호황 때는 GDP 갭이 플러스로 나타난다. 실업률이 높고 공장 가동률이 낮은 불활 때는 마이너스 GDP 갭이 나타난다.

 

4. 잠재성잘률이 계속 떨어지는 이유는 뭘까?

 1) 국내에서 축적된 자본이 얼마나 많은가

 2) 기술혁신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는가

 3) 일할 수 있는 인구가 얼마나 많은가에 따라 달라짐

 4) 최근 우리 경제는 투자가 부진하고 기술 혁신이 정체한데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생산가능인구(일할 ㅡ잊와 능력이 있는 만 15세 이상 64세 이하)가 줄어드는 추세다. 

 

 

경기종합지수로 경기 보는 법

1. 경기지수

 1) 개념 :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지수

 

2.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es of business indicators, Composite Indexes, CI)

 1) 개념 : 경기주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넓은 범위에서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것

 2) 추가설명 : 우리나라에서 통계청이 경기종합지수를 발표하는 공식 기관임. 

  '종합지수'라는 말에 걸맞게 경제지표 여럿을 골라 가공하고 종합해서 만든다. 주로 고용, 생산, 소비, 투자, 무역, 금융 등 국민경제 주요 부분을 대표하면서 경기 동향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는 지표를 활용한다.

경기종합지수는 선행지수(선행종합지수), 동행지수(동행종합지수), 후행지수(후행종합지수) 등 세가지로 나뉜다.

 

3. 선행지수(leading index)

 1)개념 : 실제 경기 움직임보다 보통 3~10개월 정도 앞서 변하는 주요 경제지표를 종합한 지수다. 선행지수 흐름을 보면 경기 앞날을 예측할 수 있다.

 2) 추가설명 : 건설수주액 통계, 구익구직비율, 소비자기대지수와 수출입물가 비율, 코스피지수

 

4. 동행지수(coincident index)

 1) 개념 : 경기과 거의 동시에 움직이는 주요 경제지표 종합지수다. 동행지수 흐름을 보면 현재 경기 흐름을 알 수 있다.

 2) 추가설명 : 비농림어업취업지수,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5. 후행지수(lagging index)

 1) 개념 : 경기 흐름보다 보통 3~10개월 정도 느게 움직이는 주요 경제지표를 종합한 지수다. 후행지수 흐름을 보면 경기흐름을 사후에 확인할 수 있다

 2) 추가설명 : 상용근로자수, 생산자재고지수, 도시가계 소비지출, 소비재수입액


경기진단, 어떻게 하나: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로 경기 진단하기

1. 경기종합지수 강공한 지표를 활용하면 장기흐름을 읽을 수 있다.

바로 통계청이 매달 경기종합지수를 가공해서 발표하는 '순환변동치'라는 지표임


BSI로 경기 읽는 법

1. BSI(Business Survey Index)

 1) 개념 : 기업 경기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만든 지수. 기업경기실사지수 또는 기업업황지수라고 부름. 일정기간 설문조사를 통해 여러 기업 경영자에게 자사 경영실적과 계획, 업황 판단과 전망 등을 붇고 결과를 분석해서 만든다.

 


실업률과 체감 실업률, 왜 다를까

1. 통계청 실업률 집계는 국제노동기구(ILO)가 정한 '공식 실업자' 범주를 따르기 때문임

 

2. 국제노동기구가 말하는 '공식 실어바'는 단지 일자리가 없어서 일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며, 다음 세가지 조건에 맞아야한다. 첬째, 통계기관이 매달 실업률을 조사하는 일주일동안 수입 잇는 일을 하지 못했고, 뚤째, 실업 통계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4주동안 일자리를 얻으려고 구직활동을 했고, 셋째, '만약 일자리가 주어진다면 당장 일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해야 한다.

 

3. 비경제활동인구

 1) 개념 : 경제활동인구가 아닌 사람들이다.

 2) 추가설명 : 취업준비자나 구직단념자를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함

 

4. 확장실업률

 1) 첫째, 근로 시간이 주당 36시간 이하면서 추가로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

 2) 둘째, 비경제활동니구 중 잠재경제활동인구

 

5. 잠재취업가능자

 1) 개념 : 실업률 조사 시점 이전 4주간 원서 접수나 시험 응시 같은 구직 활동을 적극 햇찌만 본이이 아프거나 돌봐야 할 가족이 있어서 일할 수 없었던 사람들

 


부가가치 어떻게 높일까

 1. 부가가치(附 붙을 부 加 더할 가 價 값 가 値 값 치, value added)

 1) 개념 : 재화와 서비스 생산해서 매매할 때마다 새로 더해진 화폐액을 말함

 2) 추가설명 : 음식점이 재료비와 인건비를 포함해 총비용 6000원 들여 만든 순댓국 한 그릇을 9000원에 팔았다면 3000원이 부가가치다.

 

2. 부가가치를 높이려면

 1) 비용을 줄이고 같은 산출액을 유지한다.

 2) 중간투입비를 늘리더라도 생산품질을 높여 전보다 더 비싸게 더 많이 판다.

 3) 중간비는 그대로 들이면서 생산량과 판매량을 느리거나, 품질이 더 좋은 상품을 더 많이 생산해 판매한다.

 

GDP 디플레이터, 잠재성장률,  GDP Gap, 경기종합지수, BSI, 부가가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