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이란 무엇인가
1. 채권(bond)
1) 개념 : 정부나 지방자치체,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등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임
2) 추가설명 : 정책이나 사업 수행에 필요한 거액 자금을 일시에 빌려 장기간 쓰려는 목적으로 발행.
법에 따라 발행할 수 있는 곳이 정해져 있고, 바존시장법(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 정한 규칙을 따라 거래하게 된다. 단위 가격, 상환 만기, 금리를 정해서 발행한다. 발행 뒤에는 발행자가 채권자(채권매입자)에게 정기적으로 또는 만기에 이자를 준다.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만기 전이라도 매매가 가능함.
2. 담보(擔 멜 담 保 보전할 보, collaeral)
1) 개념 : 채무자가 빚을 갚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맡아두는 자산
채권은 언제 사고 언제 팔까
1. 채권을 발행할 때는 액면가, 만기, 표면금리를 표시함
2. 액면가
1) 개념 : 새로 발행하는 채권의 금액란에 표시하는 금액을 말함.
3. 표면금리
1) 개념 : 발행자가 발행가를 기준으로 정기적으로 또는 만기에 이자를 지불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
표면이율, 발행금리, 쿠폰 비율(coupon rate)
4. 채권투자는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할수 있음
1) 사들인 뒤 만기까지 보유하려면 정기적으로 이자를 벌기
2)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다 받는다. 아니면 보유 도중에 팔아넘겨 매매 시세 차익을 볼 수도 있음
5. 흔히 액면가 1만 원짜리 채권이면 발행가 9000원 식으로 액면가를 깍아 발행한다. 이른바 할인발행이다. 할인발행을 해서 유통하는 채권을 할인채라 한다.
할인채를 사서 만기까지 보유하면 액면가 해당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만약 만기 전에 팔아넘겨 시세 차익을 보려면 시장금리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 시장금리가 채권 투자 득실을 좌우하기 때문임.
금리가 투자 득실을 좌우하는 이치도 채권이 새로 발행되는 것이냐 이미 발행해서 유통 중인 것이냐에 따라 다른다.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시장금리가 떨어질 때 표면금리도 함께 떨어진다. 금리가 떨어질 때 새로 발행되는 채권을 산다면 전보다 금리 수익이 떨어지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이미 발행되어 유통 중인 채권은 사정이 다르다. 시장금리가 떨어지면 상대적으로 표면금리 수준이 높아져 수익성이 좋아진다. 자연히 투자 수요가 몰려 시세가 오른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정반대 현상이 생긴다. 이미 발행해 유통 중인 채권은 표면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자연히 투자자들이 외면해서 매매가가 떨어진다.
요켠대 이미 발행되어 유통 중인 채권 시세는 시장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런 이치를 두고 흔히'채권 값과 시장금리가 반대로 움직인다'고 말한다. 이때 '채권 값'은 발행가가 아니라 시세(시장가격)를 가리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하고 유통하는 증권시장은 개념상 크게 신규발행 증권을 매매하는 발행시장(1차 시장), 이미 발행된 증권을 매매하는 유통시장(2차시장)으로 나눈다.
6. 채권은 시장금리가 높을때(즉 채권 매매가가 낮을때)사고, 시장금리가 내린다음(즉 채권 매매가가 오른다음) 팔면됨
채권 시세와 금리, 경기, 주가는 어떻게 맞물려 움직이나
1. 경기가 좋을 때 투자와 소비가 늘면서 시중 자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진다. 평소 자금이 많이 필요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에서는 자금 마련을 위해 채권 발행을 늘리려는 움직임이 커진다. 그 결과 채권 발행시장에서 채권 공급이 늘어난다. 채권 발행 시장에서 공급이 늘면 수요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채권 값이 떨어진다. 그럼 채권 발행자들은 채권을 팔기 위해 다투어 채권 표면금리를 올린다. 그 여파로 시장금리가 오른다. 그 여파로 시장금리가 오른다 이런 식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발행 채권 시세가 내리면서 시장금리가 오른다.
2. 시장금리가 오르면 채권 유통시장에서 매매되는 채권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나빠져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세가 떨어진다. 결국 경기가 좋아지면 채권은 발행시장에서나 유통시장에서나 시세가 떨어진다. 채권 시세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채권 유통시장에서 투자 자금이 빠져 나와 주식 매수로 몰리면 주가가 오른다.
요컨대 경기가 좋아지면 채권 값은 내리고 시중금리와 주가는 오르는쪽으로 에너지가 쏠리는 것이 정상이다.
3. 경기가 나쁠 때는 반대 현상이 생긴다. 경기가 나쁘면 자금 수요가 줄기 때문에 채권 발행 수요도 줄고 그만큼 발행시장에서 채권 공급이 줄어든다. 공급이 줄면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어나므로 발행 채권은 값이 오른다. 그럼 채권 발행자들은 채권 표면금리를 낮춰도 충분히 채권을 팔 수 잇다고 판단해서 발행채 표면금리를 내린다. 그 여파로 시장 금리가 내린다. 이런 식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발행 채권 시세가 오르면서 시장금리가 내린다.
4. 시장금리가 내리면 유통시장에서 매매되는 채권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아지므로 수요가 늘어나고 시세가 오른다. 결국 경기가 나빠지면 채권은 발행시장에서나 유통시장에서나 시세가 오른다. 결국 경기가 나빠지면 채권은 발행시장에서나 유통시장에서나 시세가 오른다. 채권 값이 오르는 것을 보고 채권시장으로 시중 자금이 몰리다 보면 주식시장에서는 자금이 빠져나와 주가가 떨어질 수 있다.
요컨대 경기가 나빠지면 채권 값은 오르고 시장금리와 주가는 떨어지는 쪽으로 에너지가 쏠리는 것이 정상임
5. 시장금리는 정상적인 경우 호황과 함께 오르지만 불황 때 오르는 수도 있다 .주로 많은 기업이 사업부진으로 자금난을 겪을 때 그렇다. 불황 때 자금난을 겪는 기업은 앞다퉈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마련하려 한다. 그럼 발행시장에서 채권 공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채권 시세는 떨어진다. 그럴수록 채권 표면금리는 오른고 그 여파로 시장그밀도 오른다. 이때 유통시장에서 채권을 사는게 좋을 까, 파는게 좋을까?
장차 불황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판단되면 매수를 미뤄야 한다. 불황이 자금 압박을 가중시킬수록 시장금리는 더 오르고, 시장금리가 오르면 유통시장에서 매매되는 채권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나빠져 수요가 줄어들고 시세가 떨어지기 때문임
6. 시장금리가 오르고 채권 시세가 내리는 현상을 지켜보다 금리가 정점에 이르고 채권 값이 바닥을 쳤다고 판단될 때 채권을 사들이면 좋다.
미 대통령 트럼프가 왜 우리나라 금리 올리나
▶트럼프가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구성을 한다고 하니 투자자들이 대거 채권 매도에 나서면서 시장에는 채권 공급이 늘어나면서 채권금리가 뛰어올았음
1. 정부가 재정을 많이 풀면 시중 통화량이 급증하면서 물가가 뛰고 일플레이션이 일어나 돈 가치가 떨어질수 있다. 돈 가치가 떨어지면 채권 투자자는 손해 본다. 채권 만기 때 받을 원금과 이자는 액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임
'주식 공부 기록하기 > 02. 기본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원 저' 때는 왜 수출 잘되나('원 저' 물가&수출&주가 관계) (0) | 2021.10.02 |
---|---|
[환율] 왜 달러 환율을 애기하나(환율표기기준, 환율어떻게 정해지나, 변동환율, 고정환율, 패그제, 바스켓 통화 환율) (0) | 2021.10.02 |
핫머니는 뭐가 문제인가(물가와 주가의 연관성,가치주, 성장주,배당,공시) (0) | 2021.09.30 |
증권이란 무엇인가(유가증권, 주식, 채권, 수표, 어음,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장외시장, 장내시장, K-OTC, 결제, 대체결제) (0) | 2021.09.30 |
[금융] 부동산 주식, 저금리 때는 어느 쪽이 낫나(예대마진,리보,가산금리,스프레드,신용평가,사채시장) (0) | 2021.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