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기록하기/02. 기본개념

[경제지표]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경제지표, 지수, % 와 %p 차이, GDP,GNI)

by 행복한이천만장자 2021. 10. 5.
반응형

경제지표 어떻게 만드나

1. 경제지표(economic indicators)

 1) 개념 : 경제 현상을 측정해서 경제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기 쉽게 나타낸 도구

 2) 추가설명 : 퍼센트(%)로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처럼 간단한 숫자 형태를 주로 쓰는데, 그냥 숫자가 아니라 지수일 때가 많다. 

 

2. 지수(指 손가락 지 數 셀 수, index, index numbers)

 1) 개념 : 현실에서 나타낸 변화를 알아보려고 만들어 쓰는 통계 값

 2) 만드는 법

  - 기준이 되는 값이나 기준 시점 값을 정한다.

  - 기준 값 또는 기준 시점 값에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값, 비교하거나 측정하려는 시점의 값을 대비시켜 지수를 구한다.

            지수= 비교하려는(비교시점의 값) 값/기준이 되는(기준 시점의)값 x100

 

3. 보통 지수로 경제지표를 만들 때는 1년을 6개월이나 3개월씩 나눠 구간별로 측정하는 방식을 쓴다.


경제지표 기사에서 왜 '기준'을 봐야 하나

1. 기준 시점이나 기준값을 밝히지 않는 경제통계는 대개 바로 직전 구간을 기준으로 삼는다.

 


%와 %포인트, 뭐가 다를까

1. 퍼센트

 1) 개념 : 수량으로 표시할 수 있는 현상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변화율 지표다.

 

2. 퍼센트포인트(percent point)

 1) 개념: 퍼센트 값 간 차이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

 

3. 예제

 실업률이 지난해 3%였고 올해는 6%라 하자, 올해 실업은 지난해에 비해 얼마나 늘었을까?

 

 1) 첫째, 실업 증가분을 퍼센트 값 간 차이로 계산해서 '3%포인트 늘었다'고 답할 수 있다

    6%-3%=3%p

 2) 둘째, 실업 증가분을 퍼센트 값 간 변화율로 표현해 '100% 늘었다'고 답해도 된다.

    [(6-3)/3 x 100 =100%]


경제 크기 무엇으로 재나

1. 가장 흔히 쓰는 척도는 재화생산크기다.

 

2. GDP(Gross Domestic Product)

 1) 개념 : 생산해내는 재화 총량, 국내총생산

 2) 추가설명 :  GDP는 국경 안에서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가계, 기업, 정부 등 국민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에 생로 생산한 재화 전체를 화폐가치로 집계한 액수다.

 


 

경제 규모, 왜 GDP만큼 커지지 않나

1. GDP를 계산하려고 국내 재화액을 합계 낼 때 재화액 크기가 물가 변동분을 반영해 부풀거나 줄어들기 때문이다.

 

2. 실질 GDP(real GDP)

 1) 물가 변동에 따른 영향을 없앤 가격을 써야 한다. 경상가격에서 물가 변동분을 빼면 됨. 이렇게 변환된 가격을 불변가격 또는 불변시장가격이라 한다.

 

3. 명목 GDP(nominal GDP)

 1) 명목 GDP를 집계할 때는 경상가격을 쓴다.

 

4. 명목인지 실질인지 언급이 없는 경우는 대부분 명목 GDP이다.

 

5. 경상가격(current price) 또는 경상시장가격(current market price)

 1) 개념 : 집계 당시 시장가격 또는 보통 때 가격을 뜻함


경제성장 속도 뭘로 재나

1. 경제 규모는 경제가 생산해내는 재화 총량의 크기다. 따라서 경제가 성장하면 경제가 생산해내는 재화 총량이 커진다. 같은 논리로, 국민경제가 성장하면 국민경제의 규모, 곧 국민경제가 생산해내는 재화 총량이 커진다.

 국민경제의 규모는 보통 GDP로 나타낸다. GDP 추이를 보면 국민경제가 얼마나 커지는지, 얼마나 빨리 성장하는지 알 수 있다. 국문경제는 GDP가 빨리 커질수록 빨리 성장하고, GDP증가 추이가 시원찮으면 성장 속도가 떨어진다.

 

2. GDP 증가율

 1) 명목GDP는 물가 변동에 따른 영향을 받으니 실질 GDP 추이를 봐야 실질 경제성장 추이를 알 수 있다.

  - 실질 GDP 성장률 = (올해 실질 GDP-전년 실질 GDP)/전년 실질 GDP x 100

 

3. 다만 실질 GDP성장률이나 경제성장률이 어느 정도면 높고 어느 정도면 낮은지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은 없다.


우리 경제 성장세, 왜 떨어지나

1. 경제성장 자체는 눈덩이를 굴리는 이치와 닮은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산업이 성숙하면 자본 수익성이 점점 떨어진다.

 

2. 자본 수익성

 1) 개념 : 자본을 들여 사업을 벌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자본 대비 수익이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3. 낙수효과

 1) 개념 : 대기업이 잘되야 중소기업이 잘되고 내수도 좋아진다는 논리

 2) 추가설명 : 고도성장기에는 통했지만 이제는 안통함

 

4. 문재인정부는 경제성장 패러다임 변화를 선언함. 가계, 중소기업 내수부문을 새성장동력으로 만드는 전략

 1) 첫째, 가계소득을 늘려 소비가 늘어나게 함으로써 가계 소비를 성장 원천으로 삼는 '소득 주도 성장'

 2) 둘째,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상대로 불공정한 거래 관행을 일삼는 적폐를 바로잡아 중소기업 성장을 돕는 '공정 경제'

 3) 셋째, 사용자 우위 노사 관계에 균형을 더해 일자리 질을 개선하고자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를 줄이면서 좋은 일자리를 늘리는 '일자리 중심 경제'

 

※내 생각 : 문제인정부의 주 52시간, 최저임금 상승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됨


국민 소득 크기는 왜 GNI로 잴까

 

1. 국민소득

 1) 개념 : 국민이 일정기간 생산활동을 해서 돈을 한계한 금액임

 2) 추가설명 : 국민경제가 지닌 소비능력이나 소득수준을 재기 위해 소비 측면에 중점을 두고 GDP를 손질해 만드는 지표

 

2. GNI(Gross National Income)

 1) 개념 : 국민이 일정기간에 번 소득 총계를 뜻함. 자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 활동에 참가해 번 총 소득합계

 2) 추가설명 : 1인당 국민소득은 국민총소득, GNI를 총인구수로 나눈 지표다. 일정기간 생산한 재화 총량 가치를 시장가로 평가하는 것까지 GDP와 같은데, GNI는 GDP를 더 가공해 만든다. GDP 통계와 마찬가지로 명목치와 실질치를 구할수 있다.

 명목 GNI는 명목 GDP에다 명목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을 더해 구한다.

 

3.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

 1) 개념 : 국외 수취 요소 소득(자국민이 해외에서 1년 이상 거주하며 번 소득)에서 국외 지급 요소 소득( 외국인이 자국에서 1년이상거주하면 번 소득)을 뺀 금액

 

4. 실질 GNI = 실질 GDP + 실질 국외 순수취 요소 소득, 실질 무역 손익

 

5. 실질 무역 손익

 1) 개념 : 환율 등을 반영한 대외 교역조건이 달라지며 무역에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을 말함

 

6. 교역조건(terms of trade)

 1) 개념 : 국민경제가 수출해서 버는 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 수량이 얼마나 되는지를 계산한 지표다.

 2) 추가설명 : 교역조건지수에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있따.

 

7. 순상품교역조건지수

 1) 개념 : 수출물가지수를 수입물가지수로 나눠 구한다.

 

8. 수출물가지수

 1) 개념 : 수출 단가 추이를 지수로 만든 지표

 

9. 수입물가지수

 1) 개념 : 수입 단가 추이를 지수로 만든 지표다.

 

10. 순상품교역조건지수

 1) 개념 : 단위 수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 수량을 지수로 만들어 표시하는 비율 지표다.

   순상품교역조건 = 수출물가지수/수입물가지수 x 100

 

11. 소득교역조건지수

 1) 개념 : 순상품교역조건지수를 보조하는 지표임

 

경제지표, 지수, % 와 %p 차이, GDP,GNI

반응형

댓글